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에는 중소기업, 취업자, 그리고 다양한 정책 지원 사업이 한층 확대되고 체계적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경제 활성화와 디지털 전환, 친환경 경영 등을 중점으로 각종 지원 사업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 사업의 신청 기간과 주요 내용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에 주목해야 할 주요 지원사업을 분기별로 정리하여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하겠습니다.
1. 2025년 1분기 (1월~3월): 새로운 지원사업의 시작
2025년 1분기는 많은 지원사업이 공고되고 신청 접수가 시작되는 시기로, 새로운 정책들이 발표되는 시기입니다.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 사업: 1월부터 중소기업 대상 기술혁신 지원 사업이 시작됩니다. 이 사업은 신기술 개발과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하며, AI, IoT,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술 개발 기업에 최대 5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합니다. 신청 기간은 1월 초부터 2월 말까지로, 중소기업진흥공단 웹사이트를 통해 접수 가능합니다. 또한, 3월에는 스마트 공장 보급 지원 사업이 시행됩니다. 이 사업은 제조업 기반의 중소기업들이 스마트 공장 솔루션을 도입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며, 최대 1억 원의 비용을 지원합니다.
취업자를 위한 지원 사업: 2월에는 청년 디지털 일자리 지원 사업이 시행됩니다. 이 사업은 만 39세 이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IT 및 디지털 관련 직군에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기업은 최대 6개월간 청년 1인당 180만 원의 인건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중장년층을 위한 재취업 지원 사업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됩니다. 이 사업은 만 40세 이상의 퇴직자를 대상으로 직업 훈련과 취업 연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정책 지원 프로그램: 1분기에는 정부의 주요 정책 지원 사업 공고가 몰려 있습니다. 탄소 중립 기술 개발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하며, 친환경 기술 도입 및 에너지 절감 솔루션 개발을 위한 자금을 지원합니다. 이 사업은 1월 중순부터 3월 말까지 신청을 받습니다.
2. 2025년 2분기 (4월~6월): 지원사업 신청의 피크
2분기는 대부분의 지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시기로, 신청과 선정 과정이 활발히 이루어집니다.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 사업: 4월에는 중소기업 수출 바우처 지원 사업이 시작됩니다. 이 사업은 해외 시장 진출을 원하는 중소기업에게 해외 박람회 참가비, 번역 서비스, 해외 마케팅 비용 등을 지원합니다. 기업은 최대 3천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신규 수출 기업에는 가점이 부여됩니다. 또한, 중소기업 ESG 경영 지원 사업은 중소기업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ESG) 경영을 도입할 수 있도록 관련 컨설팅과 기술 도입 비용을 지원하며, 친환경 설비 구축 시 최대 지원금 2억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취업자를 위한 지원 사업: 취업자들을 위한 2분기의 대표 사업으로는 지역 맞춤형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사업은 지역별 산업 특성에 맞춘 교육과 취업 연계를 제공하며, 특히 농업, 관광업,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에 중점적으로 시행됩니다. 예를 들어, 전남에서는 친환경 농업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제주에서는 관광 및 서비스 산업 직군에 특화된 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
정책 지원 프로그램: 2분기에는 스타트업 기술 창업 지원 사업에 주목해야 합니다. 5월부터 시행되는 이 사업은 기술 기반 창업자들에게 시제품 제작비와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하는데요. 최대 1억 원의 지원금이 제공됩니다. 기술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창업자는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2025년 하반기 (7월~12월): 성과 창출과 추가 지원
2025년 하반기는 상반기 동안 접수된 사업들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시기로, 일부 신규 사업도 추가 공고됩니다.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 사업: 7월에는 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 사업이 시작됩니다. 이 사업은 이미 스마트 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이 AI, IoT 기술을 추가로 도입해 공정 자동화를 고도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최대 2억 원의 비용을 지원합니다. 9월에는 친환경 전환 지원 사업이 재개됩니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친환경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업장 시설 개선비와 기술 도입비를 보조합니다.
취업자를 위한 지원 사업: 하반기에는 취업 연계형 직업 훈련 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됩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직업 훈련 사업은 IT와 소프트웨어 분야에 특화된 직업 훈련을 제공하며, 청년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에게도 교육 기회를 제공합니다.
정책 지원 프로그램: 하반기에는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이 시행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 네트워킹 기회와 투자 유치를 지원합니다.
앞으로의 방향
2025년에는 중소기업, 취업자, 스타트업 등 다양한 대상에 맞춤형 지원사업이 제공되며, 분기별로 주요 사업이 다르게 운영됩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사업을 미리 파악하고 신청 기간과 요구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